양남 주상절리군은 경주시 양남면에 위치하며,
동해안을 따라 발달한 주상절리들의 발달규모 및 형태의 다양성을 인정받아
2012년 9월 25일 천연기념물 제 536호로 지정되었다.
주상절리는 주로 현무암과 같은 화산암에서 형성되는 육각기둥 모양의
돌기둥을 의미한다.
이 곳 양남 주상절리군을 이루는 주상절리들은 1.7 km 정도의 짧은 해안 사이에
부채꼴 주상절리, 누워있는 주상절리, 기울어진 주상절리, 위로 솟은 주상절리
등 다양한 모양을 가지는 주상절리들이 모여 있다.
이 중에서도 특히 둥글게 펼쳐진 형태의 부채꼴 주상절리는
세계적으로 유래를 찾기 힘든 사례이며, 이들의 형성과정에 대해서도
아직 밝혀진 바 없어 많은 지질학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.
양남주상절리군을 이루는 현무암은 한반도와 붙어있던 일본이 잡아당기는
힘으로 떨어져 나가면서 동해가 형성되었을 때 만들어졌다.
잡아당기는 힘은 양남주상절리군 일대에도 영향을 주어 땅이 벌어지게 되었고,
벌어진 틈으로 땅 속 깊은 곳에 있던 마그마가 솟아오르면서
일어난 화산활동으로 현무암이 만들어진 것이다.
따라서 양남주상절리군은 주상절리 자체뿐만 아니라 동해가 만들어질 당시
환경을 알려준다는 점에서 뛰어난 지질학적 가치를 가진다.